FTP(File Transfer Protocol)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FTP는 크게 두 가지 모드, 즉 Active 모드와 Passive 모드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드들은 데이터 연결의 설정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며,
각각의 환경과 요구 사항에 따라 적합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Active Mode FTP
Active 모드에서 FTP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고,
명령 포트(보통 21번)을 통해 세션을 시작합니다.
이후 파일 전송을 위한 데이터 연결을 설정할 때는 FTP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연결을 시도합니다.
클라이언트는 먼저 서버에 자신의 IP 주소와 데이터 포트를 알려주고,
FTP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제공한 포트로 데이터 연결을 위해 다시 연결을 시도합니다.
Active 모드의 단점
많은 클라이언트가 방화벽 뒤에 있거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제한되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이 모드는 보안 설정이 엄격하지 않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Passive Mode FTP
Passive 모드는 Active 모드의 연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 모드에서는 모든 연결 초기화가 클라이언트 측에서 이루어집니다.
클라이언트가 FTP 서버의 명령 포트에 연결한 후, 서버에 "PASV" 명령을 보내 passive 모드로 전환을 요청합니다.
그러면 FTP 서버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포트를 열고, 해당 포트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줍니다.
클라이언트는 이 포트 정보를 사용하여 서버에 데이터 연결을 초기화합니다.
Passive 모드의 장점
클라이언트가 모든 연결을 초기화하기 때문에 방화벽이나 NAT 뒤에 있는
클라이언트도 FTP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현대의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더욱 효과적인 연결 방식을 제공합니다.
마무리
Active 모드와 Passive 모드는 각기 다른 네트워크 환경과 보안 요구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개인 사용자나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Passive 모드가 더 자주 사용되며,
네트워크가 단순하고 보안 요구 사항이 낮은 경우에는 Active 모드가 적합할 수 있습니다.
각 모드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네트워크 환경에 맞는 최적의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Application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크롬에서 긁어오기 & 우클릭 제한 해제하기 (자바 스크립트 중지) (0) | 2025.04.07 |
---|---|
[정보] Eclipse C++ Build 오류 (*** No rule to make target 'all'. Stop.) (0) | 2024.09.11 |
[정보] Excel 창 사라짐 (0) | 2024.03.08 |
[정보] FTP URL 로그인 정보 입력 (0) | 2024.02.28 |
[정보] 크롬 실행 시 전체 화면 (Chrome Full Screen) (0)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