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OS/Linux(Ubuntu) 21

[Linux/Ubuntu] 파일 크기 변경 (truncate)

리눅스의 기능 중 파일의 크기를 임의로 늘리고 줄이는 기능이 있습니다 truncate 명령어로 파일의 크기를 임의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제로 파일의 크기를 10기가 늘이고 싶다면 > truncate -s +10G /root/testfile.txt 위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root/testfile.txt 파일의 용량이 10G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크기를 줄이고 싶다면 -10G 처럼 앞에 기호를 마이너를 넣으면 됩니다 단위로는 K, M, G, T, P, E, Z, Y 같이 용량 크기의 앞 스펠링을 적으면 됩니다

OS/Linux(Ubuntu) 2022.12.19

[Linux/Ubuntu] 백그라운드 프로세스(프로그램) 실행(nohup)

ssh 콘솔 창에서 백그라운드로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싶다면 nohup 명령어를 이용하면 쉽게 백그라운드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nohup의 명령어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면 현재 접속되어 있는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계속 해서 프로그램을 돌릴 수 있다 nohup /etc/program & 이렇게 "nohup 프로그램명 &" 실행하면 백그라운드로 프로그램을 실행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위 스샷은 프로세스가 없는 상태의 스샷이다  위 스샷은 nohup 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한 상태이다 저 상태에서 Ctrl+C를 눌러 빠져나와서 ps 명령어로 해당 프로세스를 확인해 보면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ssh 연결을 끊은 후 재 접속 하여 다시 한번 ps 명령어로 해당 프로세스를 확인하면 ..

OS/Linux(Ubuntu) 2022.11.28

[Linux/Ubuntu] xrdp (xfce4) 접속이 안될때 해결 방법

우분투에 xfce4를 설치하여 사용 중 갑자기 원격 연결이 되지 않는 증상 발생 해당 증상 발생시 이전 글에서 남겼던 netstat로 해당 프로세스 확인 https://devsalix.tistory.com/22 [Linux/Ubuntu] 프로세스 구동 확인 ( netstat ) 네트워크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경우 통신 대기의 상태를 활용하여 정상적으로 프로세스 구동되는지 확인 가능 하다 명령어 문구로는 netstat -antp |grep LISTEN 구문으로 확인 가능 하다 해당 구문으 devsalix.tistory.com # netstat -antp |grep xrdp xrdp 앞의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 # kill -9 2033 # kill -9 2029 그 후 xrdp 연결되어 있는 pid 파일 제거..

OS/Linux(Ubuntu) 2022.11.22

[Linux/Ubuntu] SSH 설치 (root 접근 허용 / 포트 변경)

apt-get 으로 openssh-server 설치 #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설치 후 정상 구동 확인 # /etc/init.d/ssh status active : active (running) 이므로 정상적으로 실행 되고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초기상태의 경우 root의 접속 불가로 설정 되어 있다 root 접속을 허용해 주고 싶다면 /etc/ssh/sshd_config 파일의 PermitRootLogin 값을 yes로 바꿔주면 된다 그외 기본 포트(22)로 활성화하면 보안에 취약하므로 다른 포트로 변경도 가능하다 역시 마찬가지로 /etc/ssh/sshd_config 파일내 Port 22 설정값의 수정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후 ssh를 ..

OS/Linux(Ubuntu) 2022.11.18

[Linux/Ubuntu]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 고정 (이름 확인)

우선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 이름을 확인하는 명령어로는 # ip link show 명령어로 확인이 가능하다 현재 나의 네트워크 카드는 2개가 꼽혀 있어 enp1s0과 enp2s0의 장치명이 할당되어 있다(enp2s0은 비 활성화 상태 [state DOWN]) 현재 이름은 장치가 추가될경우 장치명이 변경이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 vi /etc/default/grub 명령어로 /etc/default/grub 의 파일을 수정한다 아래 해당 구문에 GRUB_CMDLINE_LINUX="" 추가로 아래와 같이 변경 해 준다 GRUB_CMDLINE_LINUX="net.ifnames=0 biosdevname=0" 그 후 esc 키 입력을 하고 『 :wq 』 구문으로 저장 후 종료를 한다 파일을 변경 하고 커맨드..

OS/Linux(Ubuntu) 2022.11.17

[Linux/Ubuntu] VI 방향키 먹통 증상

위 캡처처럼 우분투 설치 후 VI 입력 시 방향키가 먹히지 않는 증상이 발생 방향키 입력시 대문자 A, B, C, D 같은 문자 값이 입력되는 증상이 생김 이런 증상이 생겼을때는 # cd ~ 폴더 위치 이동 후 # vi .exrc .exrc 라는 파일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에 set autoindent set bs=2 set nocp 세줄의 문구를 입력하고 esc 키 입력 후 『 :wq 』 구문으로 저장 후 종료를 한다 그 후 # source .exrc 명령어로 환경 설정을 해 주고 다시 vi로 돌아가면 정상적으로 입력 시 방향 전환이 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OS/Linux(Ubuntu) 2022.11.16

[Linux/Ubuntu] MySQL 설치 및 설정 (외부 접근, 사용자 등록 및 삭제, 권한 설정)

1. 설치 우선 먼저 # apt-get upgrade # apt-get update 를 진행해서 apt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합니다 그 후 # apt-get install mysql-server 진행하여 mysql 서버를 설치한다 진행 중간에 비밀번호 입력만 진행하면 자동 설치가 완료된다 2. 설정 설치 진행 후 초기 포트 변경이나 외부 접속을 허용해 주어야 한다 # vi /etc/mysql/mysql.conf.d/mysql.cnf 파일을 열어서 파일 구문중 bind-address 구문은 #으로 주석 처리하고 port 구문은 원하는 포트로 수정하면 된다. 기본값으로는 3306으로 세팅되어 있다 그 후 저장 및 종료(/wq) 진행 후 파일을 빠져나와서 # /etc/init.d/mysqld restart 서비스..

OS/Linux(Ubuntu) 2022.11.15

[Linux/Ubuntu] 아이피 제한 ( hosts.allow & hosts.deny )

특정 아이피의 접근만 허용하고 싶다면 /etc/hosts.allow /etc/hosts.deny 두 개의 파일의 수정으로 아이피 제한 및 허용이 가능하다 일단 우선 vi로 /etc/hosts.deny 파일을 열어서 맨 하단에 ALL:ALL 구문을 추가후 저장한다 ( 모든 아이피의 접근을 거부한다 ) 그리고 vi로 /etc/hosts.allow 파일을 열어서 맨 하단에 연결할 서비스명와 아이피를 입력한다 sshd: 192.168.0.1 해당 형태로 특정 IP만 허용하는 방식이 있다 그 외 대역대를 허용하고 싶다면 마지막 숫자만 뺀고 입력하면 된다 sshd: 192.168.0. 이런 형태로 입력하면 해당 대역대의 아이피만 허용 할 수 있다

OS/Linux(Ubuntu) 2022.11.14

[Linux/Ubuntu] 로그인 기록 확인 (last, lastb)

로그인 기록을 확인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성공한 기록 last 로그인한 사용자 / 아이피 / 일자 / 시간까지 기록되어 있다 해당 명령어로 누가(사용자) 언제(일자및 시간) 어디서(아이피) 접근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로그가 많이 쌓였다면 cat /dev/null > /var/log/wtmp 구문으로 초기화를 할 수 있다 2. 로그인을 실패한 기록 lastb 로그인을 시도한 사용자, 아이피 및 시도한 일자와 날자를 확인 할 수 있다 특정 아이피가 로그인 시도를 많이 한다면 아이피 접근 제한으로 해당 아이피를 차단 할 수 있다 해당 로그 역시 로그가 많이 쌓여 있다면 cat /dev/null > /var/log/btmp 구문으로 초기화를 할 수 있다

OS/Linux(Ubuntu) 2022.11.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