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OS 55

[Windows] 디스크 파티션 활성화 방법 (Diskpart Partition Active)

MBR의 파티션의 경우 부팅 가능한 파티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파티션 활성화가 이뤄져야 합니다 간단하게 DiskPart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파티션 활성화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diskpart 프로그램을 열고 『list disk』 명령어로 현재 연결된 disk를 확인 후 『sel disk x』 명령어로 활성화하려는 디스크를 선택해 줍니다 이후 『list part』 명령어로 활성화 하려는 디스크를 확인 후 『sel part x』 명령어로 파티션을 선택해 줍니다 이후 『active』 를 명령어를 실행하시면 해당 파티션을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디스크 상태 이후 디스크 상태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OS/Windows 2023.03.20

[Linux/Ubuntu] Grub 부팅 Timeout

처음 세팅 후 Grub 선택 화면에서 30초 정도 선택 대기를 합니다 해당 Timeout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etc/default/grub 의 값을 조절해 주면 됩니다 # vi /etc/default/grub 위의 명령어로 grub 파일을 들어가서 #GRUB_DEFAULT=0 GRUB_DEFAULT=3 기존 DEFAULT 시간이 0으로 되어 있는것을 3 정도로 바꿔 줍니다 # update-grub 마지막으로 위의 명령어로 grub 설정을 업데이트 해 주면 끝납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OS/Linux(Ubuntu) 2023.03.15

[Linux/Ubuntu] cron(crontab) 사용법 (작업 스케줄러)

사용방법으로는 리눅스 쉘 상에서 $ crontab -l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작성된 스케줄러를 볼 수 있습니다 $ crontab -e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crontab 편집기로 접근하게 됩니다 편집기에서 스케줄러를 작성 후 저장 후 (Esc 키 입력 후 『:wq』) $ /etc/init.d/cron restart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cron 이 재시작되며 작성한 스케줄러가 적용됩니다 기본 작성 방법은 한줄에 한 줄씩 작성하면 되며 * * * * * /home/user/schdule.sh 별 5개와 실행 파일을 설정하면 됩니다 첫 번째 별의 의미는 분을 의미하며 위처럼 별 5개를 입력하면 매 분마다 실행되게 됩니다 (0-59) 두 번째 별의 의미는 시간을 의미하며 특정 시간에 실행하려 할 때..

OS/Linux(Ubuntu) 2023.02.07

[Windows] 공유 파일 / 네트워크 파일 실행 (파일 열기 보안 경고)

공유 파일 혹은 네트워크의 파일을 실행하려고 할 때 파일 열기 보안 경고 확인 창이 나올 때는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우선 command 창에서 gpedit.msc 를 실행한 후 아래 위치로 이동합니다 > 로컬 컴퓨터 정책 > 사용자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첨부 파일 관리자 이동 후 설정 중 『보통 위험 수준 파일 형식의 포함 목록』 더블 클릭 후 설정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그런 다음 사용을 체크해 주시고 옵션에서 실행하려는 목록을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exe파일, txt파일 등을 실행할 때 경고 문구가 뜬다면 .exe;.txt; 위와 같이 작성 후 확인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OS/Windows 2023.02.06

[Windows] Command Line 작업 스케줄러 등록 및 삭제

Command 상으로 작업 스케줄러를 등록하고자 할 때는 schtasks /CREATE /TN "스케줄명" /TR "파일위치" /SC MINUTE /MO 1 /RL highest 위의 명령어로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명령어 뒤의 인자값으로 /SC 는 실행 빈도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그 뒤의 /MO 는 앞의 /SC의 영향을 받으며 1분마다 한 번씩 실행하겠다는 의미입니다 /RL 의 경우 실행 수준을 나타내며 highest 는 상위 권한으로 실행하라는 의미입니다 등록된 스케줄을 삭제하고자 할 때는 schtasks /DELETE /TN "스케줄명" /F 위의 커맨드를 입력하면 스케줄명으로 구성된 스케줄이 삭제가 진행됩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OS/Windows 2023.01.26

[Windows] 원격 데스크톱 포트 변경

윈도우의 원격의 경우 기본 원격 포트로 3389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미 알려진 포트의 경우 공격 대상이 되기 쉬우므로 다른 특정한 포트로 서비스에 등록 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위의 레지스트리 위치에서 PortNumber 항목을 편집 창을 열고 단위는 10진수로 변경 후 원하는 포트를 입력하면 됩니다 방화벽이 설정되어 있다면 설정 하신 포트로 방화벽 해제가 이뤄져야 하며 모든 작업이 끝나면 Command창에서 > net stop /y TermService > net start /y TermService 위의 명령어로 원격 데스크톱을 재 시작 ..

OS/Windows 2023.01.04

[Windows] 페이징 파일 (Page File) Command 설정

보통 가상 메모리 설정을 할 때는 [시스템 속성] - [고급] - [성능] - [설정] - [고급] - [가상메모리] - [변경] 위의 위치로 이동해 가상 메모리를 설정할 수 도 있지만 Command상에서 가상 메모리를 설정 하려면 wmic 명령어를 통해 가상 메모리를 설정하면 됩니다 설정 방법은 wmic pagefileset create name="C:\pagefile.sys" 위의 형식처럼 가상 메모리를 C 볼륨 하위에 생성시키고 wmic pagefileset where name="C:\pagefile.sys" set InitialSize=8192,MaximumSize=8192 생성된 가상 메모리의 크기를 지정하면 끝이 납니다 추가로 가상메로리를 제거하고 싶다면 wmic pagefileset wher..

OS/Windows 2023.01.03

[Windows]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 CMD 추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의 메뉴에서 해당 폴더의 CMD 창을 열고 싶다면 우선 레지스트리를 실행합니다 (regedit)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 해당 위치에 executecmd 키를 추가한 후 기본값에 『CMD 열기』 를 입력하고 추가로 REG_SZ 문자열 값을 추가한 후 이름은 icon 데이터는 cmd.exe 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ExecuteCMD 하위 command 키를 하나 더 추가하고 기본값에 cmd.exe를 추가합니다 첨부한 레지스트리 파일을 등록하면 바로 등록되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OS/Windows 2023.01.02

[Linux/Ubuntu] grep 사용 방법

리눅스를 사용할 시 ps 조회나 netstat 같은 명령어로 특정 값을 조회할 때 grep 명령어로 해당 구문을 찾을 수 있습니다 가령 특정 프로세스를 찾고 싶다면 > ps -aux | grep init 위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했을 시 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 netstat -antp | grep sshd 위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했을 시 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추가로 이중 조회를 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 netstat -antp | grep sshd | grep tcp6 위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했을 시 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 외 추가 옵션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c 패턴이 일치하는 행의 수를 출력 -i 비교시 대소문자를 구별 안함 ..

OS/Linux(Ubuntu) 2022.12.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