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rograming Story's 260

[Windows] 공유 파일 / 네트워크 파일 실행 (파일 열기 보안 경고)

공유 파일 혹은 네트워크의 파일을 실행하려고 할 때 파일 열기 보안 경고 확인 창이 나올 때는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우선 command 창에서 gpedit.msc 를 실행한 후 아래 위치로 이동합니다 > 로컬 컴퓨터 정책 > 사용자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첨부 파일 관리자 이동 후 설정 중 『보통 위험 수준 파일 형식의 포함 목록』 더블 클릭 후 설정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그런 다음 사용을 체크해 주시고 옵션에서 실행하려는 목록을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exe파일, txt파일 등을 실행할 때 경고 문구가 뜬다면 .exe;.txt; 위와 같이 작성 후 확인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OS/Windows 2023.02.06

[MFC] 디스플레이 화면 배율 설정

윈도우 설정에서 디스플레이의 배율을 설정하려면 레지스트리의 값 두 개를 수정하면 됩니다 레지스트리의 위치는 "HKCU\Control Panel\Desktop\" 이며 하위 『Win8DpiScaling』 키와 『LogPixels』 키의 값을 설정하면 됩니다 둘 다 키의 종류는 REG_DWORD 이며 『Win8DpiScaling』 의 값은 1로 세팅하고 『LogPixels』 의 값은 배율에 따라 조절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배율의 값은 DPI 배율 96 100 120 125 144 150 192 200 위의 표를 참고하시면 되며 설정값은 DPI의 값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후 PC를 재 부팅 하면 적용한 배율에 따라 바뀐 화면이 출력됩니다 참고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

Application/MFC 2023.02.03

[MFC] 해상도 및 주사율 설정하기 (EnumDisplaySettings)

윈도우의 해상도 및 주사율을 설정하고 싶다면 EnumDisplaySettings 함수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최대 해상도와 최대 주사율을 설정 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짜면 됩니다 void SetResolution() { double dMaxValue = 0; int iMaxModeNumber = 0; int iModeCount = 0; DEVMODE dm = { 0 }; dm.dmSize = sizeof(dm); //해상도 및 주사율 리스트 검색 while(EnumDisplaySettings(NULL, iModeCount, &dm) != 0) { //찾은 해상도 및 주사율 보다 크다면 해상도 및 주사율 리스트 인덱스 설정 if(nMaxValue < ((double)dm.dmPelsWidth..

Application/MFC 2023.02.02

[MFC] 인자값 가져오기 (command line argument)

MFC에서 프로그램 실행 시 전달받은 인자값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int iArgsCount = 0; LPWSTR *pArgsStr; pArgsStr = CommandLineToArgvW(GetCommandLine(), &iArgsCount); // 인자값 활용 LocalFree(pArgsStr); 위와 같이 함수 내 사용이 가능하고 위의 iArgsCount의 경우 전달받은 인자 값의 총개수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인자값 사용으로는 pArgsStr[1] 이와 같이 배열 형태로 사용 가능 합니다 pArgsStr[0]의 경우 현재 실행 경로를 반환하므로 실행 위치를 확인하고 싶으시면 첫 번째 인자값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Application/MFC 2023.02.01

[MFC] 콘솔 출력 하기 (Console printf)

MFC 응용 프로그램에서 콘솔에 글자를 출력하기 위해선 몇 가지 방법이 존재하지만 가장 쉬운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ifdef UNICODE #pragma comment(linker, "/entry:wWinMainCRTStartup /subsystem:console") #else #pragma comment(linker, "/entry:WinMainCRTStartup /subsystem:console") #endif 유니 코드의 환경과 멀티 바이트의 환경에서 실행하는 방법이 상이해서 간단한 코드 입력으로 콘솔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선언문입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Application/MFC 2023.01.31

[C# WinForm] 중복 실행 방지 (Mutex)

프로그램의 중복실행 방지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하지만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중복실행의 방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우선 상단에 system.Threading NameSpace를 추가하고 using System.Threading; 이후 전역 변수를 선언해 줍니다 private Mutex _Mutex; private bool m_bOverlap; public bool GetOverlap { get { return m_bOverlap; } } 그 다음 아래 함수를 추가하면 간단히 중복실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ivate void GetTaskOverlap() { string strName = Application.ResourceAssembly.ManifestModule.Name; try { _Mutex ..

[C# WPF] 파일명 & 버전 가져오기

실행되고 있는 파일명 혹은 파일 버전을 가져오고 싶다면 using System.Windows; using System.Reflection; 2가지 namespace를 추가하고 string strName = Application.ResourceAssembly.ManifestModule.Name; string strVer = Assembly.GetExecutingAssembly().GetName().Version.ToString(); strName은 파일명을 strVer는 프로그램 버전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Windows] Command Line 작업 스케줄러 등록 및 삭제

Command 상으로 작업 스케줄러를 등록하고자 할 때는 schtasks /CREATE /TN "스케줄명" /TR "파일위치" /SC MINUTE /MO 1 /RL highest 위의 명령어로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명령어 뒤의 인자값으로 /SC 는 실행 빈도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그 뒤의 /MO 는 앞의 /SC의 영향을 받으며 1분마다 한 번씩 실행하겠다는 의미입니다 /RL 의 경우 실행 수준을 나타내며 highest 는 상위 권한으로 실행하라는 의미입니다 등록된 스케줄을 삭제하고자 할 때는 schtasks /DELETE /TN "스케줄명" /F 위의 커맨드를 입력하면 스케줄명으로 구성된 스케줄이 삭제가 진행됩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OS/Windows 2023.01.26

[C# WPF] 스피커 & 마이크 설정하기

스피커 혹은 마이크 설정을 프로그램에서 지정하려고 할 때는 CoreAudioApi 를 이용하면 쉽게 설정 가능합니다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coreaudio/core-audio-apis-in-windows-vista Core Audio APIs - Win32 apps Core Audio APIs learn.microsoft.com 우선 ENUM 과 전역 변수로 디바이스 정보를 설정합니다 public enum ENUM_SOUND_DEVICE : int { None = 1, Speaker, Headset, Earphone, MAX } private string strSpeaker = "스피커"; private string strHeadset =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