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rograming Story's 260

[Linux/Ubuntu] 로그인 기록 확인 (last, lastb)

로그인 기록을 확인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성공한 기록 last 로그인한 사용자 / 아이피 / 일자 / 시간까지 기록되어 있다 해당 명령어로 누가(사용자) 언제(일자및 시간) 어디서(아이피) 접근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로그가 많이 쌓였다면 cat /dev/null > /var/log/wtmp 구문으로 초기화를 할 수 있다 2. 로그인을 실패한 기록 lastb 로그인을 시도한 사용자, 아이피 및 시도한 일자와 날자를 확인 할 수 있다 특정 아이피가 로그인 시도를 많이 한다면 아이피 접근 제한으로 해당 아이피를 차단 할 수 있다 해당 로그 역시 로그가 많이 쌓여 있다면 cat /dev/null > /var/log/btmp 구문으로 초기화를 할 수 있다

OS/Linux(Ubuntu) 2022.11.11

[MySQL] 접근이 갑자기 안되는 현상 ( flush hosts )

어느날 갑자기 잘 되던 DB 접근이 되지 않아 이유를 찾던 중 DB 접근 후 비정상 종료를 하게 되면 설정된 카운팅 후 접근 거부를 하는 기능을 발견 해당 기능을 비 활성화 방법은 따로 없고 에러 카운팅의 숫자를 높게 잡거나 주기적으로 MySQL 접속 후 flush hosts; 명령어로 초기화 해 주어야 DB 접근 거부가 일어나지 않는다 MySQL 서비스가 초기 구동될시 에러 카운팅 숫자를 높이는 방법은 my.cnf 파일의 [mysqld] max_connect_errors=10000 으로 설정 혹은 구동중인 MySQL 접근 후 SET GLOBAL max_connect_errors =10000; 구문으로 설정 가능하다 참고 : https://dev.mysql.com/doc/refman/8.0/en/host..

Database/MySQL 2022.11.08

[Linux/Ubuntu] 프로세스 구동 확인 ( netstat )

네트워크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경우 통신 대기의 상태를 활용하여 정상적으로 프로세스 구동되는지 확인 가능 하다 명령어 문구로는 netstat -antp |grep LISTEN 구문으로 확인 가능 하다 해당 구문으로 검색시 프로세스 ID 그리고 사용하는 포트 활성화 상태등 확인이 가능하다 추가로 netstat -antp |grep ESTABLISHED 구문으로는 외부에서 접근한 IP확인도 가능하다

OS/Linux(Ubuntu) 2022.11.07

[Toy Project] 블루스택 오토 프로그램 (BlueStack Auto)

1. 개발환경 .- visual Studio 2010, MFC 2. 간단설명 .- 원하는 동작을 등록 한 후 Auto 시작을 누르시면 차례대로 실행 .- 체크가된 인덱스만 순서대로 진행 됩니다. .- 등록된 순서대로 진행 후 반복속도(Sec)만큼 쉰 후 다시 진행 .- 해당 어플은 특정 위치의 RGB값을 토대로 동작하게 만들어졌습니다. .- 제외 : 특정 위치의 RGB값이 등록된 값이면 해당 인덱스는 제외 됩니다. 조건 : 특정 위치의 RGB값이 등록된 값이면 실행을 순서대로 동작 실행 : 조건에서 통과되면 순서대로 실행의 위치를 클릭... 3. etc .- 블루스택 시작버튼은 기본 설치 위치에 프로그램이 있을시 동작 됩니다. ex) "C:\\Program Files (x86)\\BlueStacks\\H..

취미/Toy Project 2015.12.01

[VB] MSCOMCTL.OCX 장애 해결

잘되던 프로그램을 실행 했는데 갑자기 MSCOMCTL.OCX 장애 발생.. 구글 네이버 등 검색 후 원인분석 하여 확인결과 MSCOMCTL.OCX 버젼문제... 단순히 vbp 파일을 열어 #2.1로 되어있는 버전을 #2.0으로 바꿔봤지만 해결이 안되서 직접 레지스트리 수정... vbp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Object 주소 확인 후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TypeLib\해당주소 에서 해당주소 전체 삭제!! 그 후 다시 Visual Basic 6 Service Pack 6 설치 그리고 Command 창에서 Regsvr32 MSCOMCTL.OCX 실행... 그 후 정상동작 확인.. 이걸로 2시간 뻘짓했네...

Application/VB 2014.09.03
728x90
반응형